-DPF는 쉽게 설명드리면 대기로 배출되는 매연을 걸러주는 필터입니다.
그래서 매연저감장치라고도 합니다. 매연으로 인해 DPF는 60%이상 막히게 되면 계기판에 경고등이 표출됩니다. DPF의 막힘 원인은 '단거리주행','잦은 공회전','엔진 관련 부품 노화','과도한 ASH축적'등 많은 원인이 있습니다.
원인 중 '과도한 ASH 축적'은 정상적인 주행으로 차량 주행중 정상적으로 DPF재생이 되면 [PM-검댕이(Soot)]이 [ASH-재]로 변하게 되는데 ASH가 대기로 100% 다 배출되지 않고 DPF 담채내에 계속해서 축적이 되어집니다. 그래서 DPF는 소모품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부품의 가격이 너무 비싸 쉽게 바꾸지 못하는 현실입니다. 그래서 클리닝을 통해 교환 주기를 늘릴 수 있습니다.
쌓여있던 PM과 ASH를 DPF클리닝을 통해 95% 이상 복원할 수 있습니다.
DPF 클리닝 후 판정은 공기량(에어플로워센서 혹은 차압센서로 확인)을 측정하여 클리닝 상태를 확인합니다.
경고등 때문에.. 차 출력이 저하되어 급한대로 뚫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뚫어버리면 배출가스가 그대로 대기로 방출되어 오염시키고, 교체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.
이제 뚫지 말고 클리닝하세요!
- 운전학원의 주행거리가 짧으나 공회전을 많이하고 저속주행을 계속하는 경우 DPF가 강제재생되지 못해 경고등이 점등되었고, 클리닝 후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.
사진과 같이 요소수 분사장치와 믹싱파이프 내에 요소수가 굳어져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SCR 촉매에도 이런 결정체가 누적되면 산화환원을 못하게 되어 질소산화물인 NOx 값이 올라가게 됩니다.
SCR 촉매 클리닝 맡겨주세요!
심각하게 ASH와 PM이 누적되어 막혀버린 DPF도 건식으로 강제재생 하여 습식으로 깨끗하게 클리닝 후 건조하여 출고 합니다.
- 촉매에 많은 그으름이 차있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LNT촉매는 차량에서 탈거 후 케이스를 분리하여 클리닝 하는 방법과 분리하지 않고 클리닝 할 수 있으며, 클리닝 부터 건조까지 완벽하게 하여 출고됩니다.